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롤 2023 월드 챔피언십(롤드컵) 대회 대전 대진 진행 방식

by 하 하 2023. 4. 24.
반응형

(미리보기 모자이크)

2023 월드 챔피언십(롤드컵) 대회 대전 대진 진행 방식

표(사진)로 자세히 보기


올해 월드 챔피언십에서는 22개 팀이 3개의 스테이지에서 경쟁합니다.

3개의 스테이지는 플레이-인, 스위스 스테이지, 토너먼트 스테이지입니다.

 

1. WQS(월드 챔피언십 선발전 시리즈)

월드 챔피언십을 시작하기 전에 선발전 시리즈를 진행 합니다.
월드 챔피언십 선발전 시리즈는 LEC 4번 시드와 LCS 4번 시드의 5판 3선승제 경기로 진행됩니다.

이 시리즈에서 승리한 팀이 월드 챔피언십에 참가합니다.

향후엔 더 많은 지역과 팀이 참여할 수 있게끔 월드 챔피언십 선발전 시리즈를 확장하고자 합니다.

 

2. 시드

각 지역의 이전 국제 대회 성적에 따라 정해졌습니다.

① 플레이-인 스테이지 시작 8개 시드:
VCS, PCS의 각 상위 2개 팀
LLA, CBLOL, LJL의 각 상위 1개 팀

WQS의 승자

② 스위스 스테이지 시작 14개 시드:
LPL, LCK의 각 상위 4개 팀
LEC, LCS의 각 상위 3개 팀

 

300x250

 

3. 플레이-인 스테이지

플레이-인 스테이지에서는 4개 팀씩 2개 조로 나뉘어 더블 엘리미네이션 대진을 통해 스테이지 2로 진출할 두 팀을 선발합니다.

각 조는 3판 2선승제 더블 엘리미네이션 대진을 진행하고 한 조의 '승자조 승자'가 다른 조의 '패자조 승자'와 5판 3선승제로 스위스 스테이지 진출권을 놓고 경기를 펼칩니다.
플레이-인 스테이지의 두 승자는 직행한 14개 팀과 스위스 스테이지에서 합류합니다.

 

4. 스위스 스테이지

스위스 스테이지는 5개의 라운드에서 같은 승리 및 패배 횟수를 기록한 팀들이 3승이나 3패를 기록하기까지 서로 경쟁하는 스위스 스타일 진행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스위스 스테이지는 각 팀이 무작위로 다른 지역의 팀과 짝을 이루고 시작합니다.

각 팀은 단판승제 경기를 진행합니다.
2라운드에서 팀들은 같은 성적을 기록한 팀(예: 1-0의 성적을 기록한 팀은 1-0의 성적을 기록한 다른 팀과 경기를 진행)과 다시 경기를 진행하게 됩니다.

총 5라운드 동안 이 방식으로 경기가 진행되며 팀들은 3번 승리하여 토너먼트 스테이지로 진출하거나 3번 패배하여 대회에서 탈락하게 됩니다.

팀의 진출 또는 탈락 여부를 결정하는 모든 경기는 3판 2선승제로 진행되며 나머지 경기는 단판승제로 진행됩니다.

 

5. 토너먼트 스테이지

토너먼트 스테이지는 스테이지 2에서 선발된 8개 팀으로 구성되며 각 팀은 스테이지 2의 성적에 따라 싱글 엘리미네이션 대진에 배정됩니다.

8강과 4강 그리고 결승으로 구성된 토너먼트 스테이지를 통해 2023 월드 챔피언십 챔피언이 결정됩니다.

반응형